회계와 세무/회계

회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회계 입문 2) - 재무제표

흑태자 2013. 3. 2. 21:20

이번 글에서는 재무제표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재무제표를 읽고 해석하는 능력은 해당 회사를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필수적입니다. 그러므로 이번 기회에 재무제표의 가장 중요한 기능을 놓치지 말고 가져가시기 바랍니다.

 

1. 재무제표의 구성

재무상태표 : 회사의 일정시점의 재무상태를 나타냄

손익계산서 : 회사의 일정기간의 경영성과(손익)를 나타냄

자본변동표 : 회사의 일정기간의 자본변동을 나타냄

현금흐름표 : 회사의 일정기간의 현금흐름을 나타냄

주석 : 재무제표에 대한 보충적인 설명을 덧붙임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손익계산서,자본변동표,현금흐름표를 기본으로 하여 주석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개별 재무제표는 상호간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는 재무제표의 대장격인 존재입니다. 일정시점이라고 하면 보고기간말을 나타내는데 보통 회계기간의 마지막날을 가리킵니다. 보고기간말의 회사의 자산, 부채, 자본을 나타내는 것으로 T 자를 그렸을 때 왼쪽편이 자산이고 오른쪽편이 부채와 자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다음과 같은 등식이 성립합니다.

   

      자산  - 부채 = 자본

 

자기자본(자본) 또는 타인자본(부채)으로부터 조달된 자금을 운용하거나 보유하고 있는 재산이 자산입니다. 이해관계자들이 관심을 갖는 것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조달된 자금으로 최대한의 재산(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느냐입니다. 자산은 일반적으로 유동성(현금화할 수 있는 정도)에 따라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구분되며, 부채도 마찬가지로 유동부채, 비유동부채로 구분됩니다. 그리고 자본은 주주가 출자한 부분과 회사 경영성과의 누적분(이익잉여금), 그리고 기타자본구성요소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3. 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는 일정기간 동안의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손익을 나타냅니다. 회사의 경영성과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회사의 1년동안의 실적을 분명하게 보여줍니다.

 

     수익 - 비용 = 이익

 

이해관계자가 재무제표를 볼 때 가장 민감하게 생각하는 부분이기도 하며, 당기순이익은 재무상태표의 이익잉여금에 반영되므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4.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는 일정기간 동안의 자본변동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자본금, 이익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의 변동 내역을 자세하게 나타내 줍니다. 유상증자가 발생했거나 주주에게 지급한 배당에 대한 내역 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자본의 변동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5.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는 재무상태표상의 현금및현금성자산이 변동한 내역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주는 것으로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현금이 증가한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니라 어떤 활동으로 인해 현금이 증가했는지가 중요합니다. 특히 전체적인 현금이 증가했으나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만 증가했다면 회사의 현금창출능력에 적신호가 켜진 것일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서 정보를 해석하셔야 합니다.

 

 

6. 주석

 주석은 개별 재무제표의 특정항목에 대해 보충적인 설명을 하는 것입니다. 예컨데 단기투자자산이라는 계정과목 옆에 괄호안에 주석3이라고 씌여 있으면 뒤에 재무제표 주석 3번에 단기투자자산의 구성내역 및 금액, 사용제한 여부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명시함으로써 보충적인 설명을 보완하는 것입니다.

 

이 글의 내용을 이해하셨다면 개별 재무제표의 세부적인 항목까지는 모르더라도 큰 줄기는 해석할 수 있습니다. 추후에 보다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복합적인 설명을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처음에는 세부적인 내용보다 전체 뼈대를 구축하고,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는 사실 잊지 마세요. 그럼 오늘은 이만 물러가겠습니다.